신입 시절, 필자가 존경하는 그 분은
휴가란 쉼표와 같은 것이라 말씀하신 적이 있다.
쉼표를 잘 찍으면 인생이 바뀐다고 말하면서 휴가의 의미를 말씀하셨던 기억이 난다.

잘못된 예) "사랑, 해보고 싶다."
올바른 예) "사랑해, 보고 싶다."

말장난을 예로 들었지만, 필자는 이후 휴가에 대한 생각이 들 때면 항상
"사랑해 보고 싶다."라는 문장이 머리 속을 맴돈다.쉼표를 잘 찍어야 인생이 바뀐다는...ㅋㅋ


다시 여름이 오고 휴가 시즌이 지나간다.
회사에서는 하계 휴가 계획을 제출하라 하고 우리는 모두 어떻게 알찬 휴가를 보낼 것인지
설레는 고민에 빠지고 또 휴가를 다녀왔다.

아니나 다를까?
시기에 맞춰 언론에서는 휴가지에 대한 정보 프로그램이 난무하고
저마다 휴가에 대한 노하우와 놀라운 여행기를 쏟아내며
나도 뒤지지 않는 추억을 만들어야 한다는 경쟁심을 돋게 한다.
* 한국사람들은 참 경쟁심이 잘 돋는다. ㅋㅋㅋㅋ

휴가의 어원과 의미
역시 피서는 냉방이 빵빵한 사무실이 최고라고 생각하는 필자는
사무실에 앉아 갑작스레 휴가의 유래가 궁금해졌다.
그래서 찾아봤다. 휴가의 어원과 유래 말이다.

불어로 바캉스"vacance"는 "~로부터 자유로워짐"
영어로 "vacation"은 "직장생활을 하는 사람이 일정 간격의 틈을 두어 휴식을 취하는 것" 이다.

유래를 찾아보니, 19세기 산업사회가 도래한 이후 일터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인데, 초기에는 일요일을 포함한 공휴일을 제외한 긴 휴가는 눈살을 찌푸리게
하였으나, 점차 노동강도가 강해짐에 따라 레크레이션을 포함한 장기 휴가가 권장되고 있다고 한다. - 출처 : 위키피디아


필자는 의아한 생각이 들었다.
일을 하는 사람이 일정한 간격을 두어 업무에서 자유로워 진다는 것
휴가의 의미가 더위를 피해 잘 논다는 의미가 아니라, 일에서 잠깐 자유로워 진다는 점이라면
우리는 일을 일생의 숙명으로 받아들어야 햐는 것이란 말인가

한량이 되는 것을 인생의 목표로 삼고 있는 필자는 순간 절망했다.

휴가라는 것이 일을 다시 진행하기 위한 일종의 쉼표란 말인가
잘 쉰다는 의미가 다시 일을 잘 하기 위한 재충전이라는 말인가

열심히 일한 당신 떠나라! 그리고 얼른 와라

결국 "열심히 일한 당신. 떠나라!"라는 말은 갔다가 오라는 말이었다.

휴가에 대해 필자에게 일설을 풀어내신 오래 전의 그 분?은 휴가를 비우는 것이라 했다.
다시 제 자리로 돌아왔을 때 새로운 것을 채울 수 있도록 비우는 작업이라 했다.

그래서 더 이상 과거에 메이지 않고
새로운 것에 도전할 수 있도록 재충전의 의미를 잘 새기라 했다.

첫 하계 휴가를 가려고 할 때
필자의 제법 거창한? 놀이 계획을 넌지시 보고선
신입사원인 나를 불러 감나라 배나라 하던 그 분의 말씀이 그 때는 참 하찮은 잔소리로 들렸다.

채운 과거에 메이지 말고 새로운 미래를 채우자

필자가 대리를 달고 
은퇴하시던 그 분을 보면서 그냥 막연히 부럽다는 생각을 했는데

얼마 전 그 분의 장녀 결혼식에 참석하기 위해
다시 만난 그 분은 정말 얼굴이 좋아 보였다.

나중에 함께 일하던 OB멤버들만 따로 한잔 사주셨는데
여전히 일을 하신다고, 그냥 잠깐 쉬었을 뿐이라고 말씀하시는 그 분 이야기를 들으면서
일이란게 업보가 아닐까 하는 생각도 했다.

지리한 장마가 물러가자마자
온 몸을 푹 쪄내는 폭염을 주는 이 여름에

경쟁심 돋아 열심히 알찬 휴가를 즐기신 와중에도
다시 업무로 돌아오면 지긋지긋한 일상에 다시 쉴 궁리를 하기 보다는
이전 것은 비우고 새로운 도전의 마음으로 남은 올해 4개월을 달려보는 건 어떨까 싶다.

어차피 평생 일을 해야 한다면
머리 속에 계속 무거운 무언가를 채우기 보다는
적당히 덜어내야 덜 피로할 테니까 말이다.

쉼표를 잘 찍는 우리가 되었으면 한다.


설정

트랙백

댓글